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4)
취득세 중과 완화 방안 (22.12.21)
부동산 세금 공부 비법 ! 스스로 터득한 세금 공부의 순서 정리 ! 일단 ① 세금은 개념 정리가 우선이다 ! 부동산을 사고 팔기까지 1. 매입할 때 - 취득세 2. 보유할 때 - 보유세 (재산세 + 종합 부동산세) 3. 임대 내놓을 때 - 종합 소득세, 법인세 4. 매도할 때 - 양도소득세, 부가가치세 총 3~4 가지의 다양한 종류의 세금을 내게 된다. 각 순서에 따라 세금 개념 정리 공부는 하단 링크를 참고 https://towyear.tistory.com/18 부동산 세금 정리 - 1.취득세 2.보유세 부동산 세금 종류 매입할 때 보유할 때 임대 놓을 때 매도할 때 취득세 보유세 ①재산세 ②종합부동산세 종합소득세 법인세 양도소득세 부가가치세 구분 지방세제 국세 지방세 부가세 취득 인 towyear.tistory.com http..
부동산 세금 정리 - 4. 양도소득세 (+부가가치세) 4.양도소득세 - 부동산을 산 가격과 판 가격의 차이인 "양도 차익"에 대해 매기는 세금 양도소득세는 주택 수와 보유기간,주택의 위치(조정,비조정) 등에 따라 세금이 달라진다. 개인 / 양도소득세 기본세율 (+ 부가가치세) 보유기간 과세표준 개인세율 누진공제 기본 조정지역 내 2주택 (기본세율 +20%) 조정지역 내 3주택 (기본세율 +30%) 2년 이상 보유한 주택, 입주권, 토지, 상가 1,200만 원 이하 6% 26% 36% 4,600만 원 이하 15% 35% 45% 108만 원 8,800만 원 이하 24% 44% 54% 522만 원 1.5억 원 이하 35% 55% 65% 1,490만 원 3억 원 이하 38% 58% 68% 1,940만 원 5억 원 이하 40% 60% 70% 2,540만 원 10억 ..
부동산 세금 정리 - 3.종합소득세 3. 종합소득세 - 소득이 발생했을 때 내는 세금 / 개인은 종합소득세 , 법인은 법인세 종합소득세 = 이자소득, 배당소득,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 연금소득을 합쳐서 계산한 세금 분류 소득세 신고 이자소득 종합소득세 배당소득 근로소득 사업소득(임대소득) 기타소득 연금소득 양도소득 양도소득세 퇴직소득 퇴직소득세 ※ 여기서 잠깐 ! 6개의 소득 중 사업 소득은 사업자가 본인 스스로 소득을 계산하여 신고 및 납부하게 되기 때문에 모든 사업자는 장부를 비치하고 기록하여야 합니다. 간편 장부 대상자 이외의 모든 사업자는 재산의 상태와 변동 내역을 빠짐없이 기록하여 장부를 기록하고 보관하여야 합니다. 즉 부동산 매매업으로 벌어드린 수익이 3억 원 미만이라면 간편 장부를 작성 / 3억 원 이상이라면 복식부기..
부동산 세금 정리 - 1.취득세 2.보유세 (23.01.24수정) 부동산 세금 종류 매입할 때 보유할 때 임대 놓을 때 매도할 때 취득세 보유세 ①재산세 ②종합부동산세 종합소득세 법인세 양도소득세 부가가치세 구분 지방세제 국세 지방세 부가세 취득 인지세 취득세 농어촌 특별세(국세) 지방 교육세 상속세 증여세 보유 종합 부동산세 재산세 지방교육세 지역 자원 시설세 농어 특별세 처분 양도소득세 지방소득세 1. 취득세 - 취득할 때 내는 세금 물건을 사고 등기,등록을 하지 않았더라도 잔금을 치르고 계약을 완료했다면 사실상 취득한 것으로 본다. 신고 기간 부동산을 취득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신고 및 납부를 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무신고 가산세 20%뿐만 아니라 납부 지연 가산세를 매일 0022%씩(연간 8%)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신고 방법 지방세에 속하므로 국세청이 ..
공시지가 기준시가 시가표준액 공시지가 (땅값) 정부에서 조사하여 산정한 후 공시하는 가격 건축물을 제외한 순수 땅 크기에 대하여 측정한 가격 토지에 대한 공시 가격 = 표준 공시지가, 개별 공시지가 주택에 대한 공시 가격 = 공동 주택 공시가격, 표준 주택 공시가격, 개별 주택 공시가격 1) 표준 공시지가 : 전국의 2700만 필지의 토지들 중 대표성 있는 50만 필지를 표준지로 정한 가격 토지에 대한 적정 가격을 평가하는 것으로 개별 공시지가의 산정 기준으로 쓰이게 된다. 매년 1월 1일을 기점으로 해서 2월에 발표한다. 국토 교통부에서 매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평가해 2월 쯤 공시 2) 개별 공시지가 : 표준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각각의 개별 토지에 대한 가격을 산정한 단위 면적 당 가격 시군구에서 매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5..
LTV DTI DSR 개념 정리 LTV (Loan to value ratio) - 주택 담보 인정 비율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 인정되는 자산 가치의 비율 즉 집값대비 얼마의 대출이 나오냐 이러한 주택의 가치는 ①KB 시세 ②한국 감정원 시세 ③국세청 기준시가 ④감정 평가 법인에 의뢰한 감정 가격 중 하나를 선택해 기준으로 정하고 있다. 매매가가 기준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보통 아파트는 KB시세를 기준으로 설정 , 빌라 및 다세대 주택은 감정가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다. ex) 매매가 4억 / 당시 KB시세 3억 8천 / LTV 50% 3억 8천 X 50% = 1억 9천 1억 9천이 LTV대출 한도가 된다. → 1억의 보증금을 내는 세입자가 있는 경우 , 대출 가능 금액 1억 9천에서 보증금 1억을 제외한 9천까지만 대출을 받을 ..
매매사업자 장 단점 부동산 매매 사업자의 종류 간주 매매사업자 vs 자발적 매매사업자 간주 매매사업자란? 짧은 기간 안에 많은 수의 부동산을 사고 판 사람을 '간주 매매사업자'라고 한다. 1) 1과세기간(6개월) 중 1회 이상 취득하고 2회 이상 판매하는 경우, 즉 1년 6회를 매매하는 경우에는 사실상 계속 반복적인 공급행위로써 부동산 매매업을 영위하는 것으로 본다. 단, 간주 매매 사업자의 정의는 굉장히 애매한 부분이 있다. 국세청에서는 1)과 같이 정의하나 대법원 판례에서는 1)은 하나의 예시적 기준에 불과하고 2) 과세기간별 취득 횟수나 판매 횟수에 상관없이 부동산의 규모, 횟수 등에 비추어 사업활동으로 볼 수 있는 정도의 계속성과 반복성이 있는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 판단한다. 고 한다. 1),2) 중 조금이라도 뜨끔..